<앵커>
웅동 1지구 개발 논란을 통해 창원시는 경남도 등 주요 관계 기관들과 불협 화음을 적나라하게 노출했습니다.
현재 표류하는 현안이 한둘이 아닌데, 지금같은 행보는 해결은 커녕 사태를 더 꼬이게 만든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은 지난 2023년 창원시와 경남개발공사의 웅동1지구 공동 시행자 자격을 취소했습니다.
십여년 동안 개발이 지연된 책임을 묻고 조속한 사업 정상화를 위해 내린 조치였습니다.
그런데 처분을 받아들인 경남개발공사와 달리 불복한 창원시는 경자청 처분 취소 소송을 냈습니다.
1심에서 패소하고도 곧바로 항소하면서, 사태 해결에 발목을 잡는다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박완수/경남도지사 "집행정지 신청이 1심에서 반려되면 자기들이 본안소송을 취소하겠다고 저에게 분명이 얘기했는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 소송을 이어오고 있다는 점에서 저는 창원시의 입장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경남도까지 조정에 나섰지만 무산됐고, 결국 경자청은 직권으로 경남개발공사를 단독 시행자로 지정했습니다.
창원시가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는 게 경자청 설명입니다.
{박성호/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장 "최근에 창원시가 입장을 번복해서 정상화 운영 TF를 1년동안 같이 운영하자는 제안이 있었는데 9개월 내에 확정투자비를 지급해야 될 상황입니다.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
창원시가 창원대의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 사업에, 재정 투입을 협약했다가 뒤집은 것도 마찬가지 상황입니다.
경남도와 창원시가 지원을 약속하면서 국비까지 따냈지만, 사업이 시작되자 창원시가 돌연 사업성을 따지며 태도를 바꿨습니다.
"행정 신의를 깨트리는 행태로, 향후 정부 공모사업이나 유관기관 협업에 악영향이 예상됩니다."
창원시는 이밖에도 1천억원 이상 들어간 액화수소플랜트와 마산해양신도시, 구산해양관광단지 등 장기 표류사업들이 산적해있습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잇따라 터지는 타기관들과의 갈등과 마찰속에, 창원시의 현안 대응과 위기 관리 역량에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