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국내 연구진이
나무뿌리가 흙에 단단히
고정되는 구조를 모방해
최대 700%까지 늘어나는
신축성 전자기판을
개발했습니다.
전자 제품의 유연성과 신축성,
기계적 내구성을 동시에
극대화하는데 성공해 늘어나는
LED 디스플레이와 태양 전지 등
차세대 전자제품을 위한 새로운 표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석민 기잡니다.
【 기자 】
불이 들어오는 전자기판을 잡아당기자 쭉쭉 늘어납니다.
구기거나 비틀어도 원형 그대로 돌아옵니다.
카이스트 박인규 교수 연구팀과 전자통신연구원이 공동 개발한 이 기판은 최대 700% 늘어나는 신축성을 확보했습니다.
전자 제품의 유연성과 신축성, 기계적 내구성을 동시에 극대화하는데 성공한 겁니다.
나무뿌리가 흙에 단단히 고정되는 구조를 모방해 주 뿌리와 보조 뿌리를 설계에 적용했습니다.
주 뿌리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경계면의 균열을 지연시키고, 보조 뿌리는 기판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해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연구팀은 1000회 이상의 물리적 변형 시도에도 성능저하 없는 안정적인 구조를 설계했습니다.
▶ 인터뷰 : 굴 오스만 / 카이스트 박사과정 연구원
- "나무뿌리가 (흙을) 잡듯이 이 신축성 기판을 잡고 있으면서 높은 수명과 높은 수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판을 만들었습니다."
특히 이 기술은 실시간으로 운동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밴드에 적용해 사용자의 운동 강도와 균형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 고무처럼 늘리거나 비트는 등 화면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 LED 디스플레이에 활용이 가능하고, 전자 피부와 의료용 센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도 적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인터뷰 : 박인규 /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 "앞으로 잘 늘리고 구부릴 수 있는 그런 신축성 플랫폼이 굉장히 중요해지고요. 거기에서 기계적 신뢰성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해줄 수 있는 기술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번 연구는 신축성 전자 소자의 핵심인 기술적 한계를 해결했으며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월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TJB 김석민입니다.
(영상취재 송창건 기자)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