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어깨가 굳으면서 통증이 오는
'오십견'은 보통 50세 전후에 많이
발병했는데, 최근엔 3040 젊은 층에서도
환자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컴퓨터 앞에서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일하는 직장인들이 많기 때문인데,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제때 치료를 받지 않으면
수술까지 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김종엽 객원의학전문기자가
오십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 기자 】
흔히 50대 이후에
많이 발생해 이름 붙여진
어깨 질환 '오십견'
어깨에 지속적인 통증과 함께
마치 어깨 관절이
얼어붙은 것처럼
제대로 움직일수 없어
'동결견'으로도 불립니다.
어깨 관절을 둘러싼 조직에
염증이 생기고 달라붙어
잘 움직여지지 않고, 통증이 발생해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도 합니다.
이처럼 다양한 이름을 가진
오십견은 대부분 50대와 60대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지만
의외로 오십견 환자
다섯 명 중 1명은 30대와 40대이고
그 수도 40만 명이 넘습니다.
평소 운동을 잘 하지 않거나
컴퓨터 앞에서 오랜시간 같은 자세로
앉아있는 젊은 직장인들이
자주 오십견을 앓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박종범 / 건양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 "30~40대뿐 아니고 심지어 20대에서도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외상이라든지 당뇨나 감상선 질환 같은 전신질환 등에 의해서 2차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초기 잠에 들기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거세지고 관절 운동 범위가 줄어들다가,
증상이 심해지면 팔을 들어올리기
어려울 정도로
움직이기 어려워집니다.
보통 약물과 운동 치료를 병행하면서
장기간 치료가 진행되지만
심할 경우 수술까지 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아픈걸 방치하고 참기보단
병원에서 의료진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제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인터뷰 : 박종범 / 건양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 "적극적인 보존치료를 했는데도 도저히 반응이 없는 극심한 통증이 지속될 경우 수술적인 치료도 고려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십견 예방을 위해
평소 생활 습관도 중요합니다.
한쪽 어깨만 사용해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옆으로 자는 행위는
어깨에 부담을 줄 수있습니다.
▶ 스탠딩 : 김종엽 / 객원의학전문기자
- "과격한 동작으로 어깨를 쓰는 행위를 지양하고,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게 좋습니다. TJB 닥터리포트 김종엽입니다."
(영상취재 성낙중 기자)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