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tjb

(R)'필름 붙여 노후 건물 진단'..나노 센서 개발

기사입력
2024-11-06 오후 9:06
최종수정
2024-11-06 오후 9:06
조회수
39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 앵커멘트 】

지난 7월 내린 폭우로 내려앉은 대전 유등교
침하 사고 이후 교량이나 빌딩 등 건축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요.

국내 연구진이 나노 센서가 달린 필름을
건물에 붙여 색깔 변화로 노후화나
손상된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양정진 기잡니다.


【 기자 】

공사가 한창인 한 빌딩.

곳곳에 필름이 붙어 있고 계속 공정이
진행되는 가운데, 구조물이 틀어지거나
금이 간 구역에 필름색이 변합니다.

위험 정도에 따라 파란색은 노란색 혹은
붉은색으로 바뀌고 공사 책임자의
스마트폰 앱으로 전달됩니다.

기계연구원에서 개발한 '필름 나노 광학센서'
시스템입니다.

공작새 깃털이나 카멜레온이 털이나 피부를
확대시켜 색을 바꾸는 현상에서 착안해
건물 표면에 필름을 붙여 늘어나는 정도로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겁니다.

▶ 인터뷰 : 녠황민 / 한국기계연구원 학생연구원
- "우리의 센서(필름)는 나노 패턴의 팽창에 따라 색깔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카멜레온이 몸의 색을 바꿀 때 피부조직을 늘려서 하는 일입니다."

필름에는 돌기형으로 된 센서가 아주 세밀한 나노급으로 장착돼 벽이 갈라지거나 구조물 겉이 부풀어 오르면 필름도 같이 늘어나고 색깔이 변하면서 노후나 위험 정도가 나타납니다.

특히 나노센서는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민감성 때문에 구조물의 부피 변화와 섞여 정확한 식별이 어려웠는데 세계 최초로 이를 극복했습니다.

▶ 인터뷰 : 윤재성 / 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 "이 두 가지 패턴을 하나의 센서에 만들어서 두 가지 색상을 비교하면 각도와 관계없이 변형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것이 이제 세계 최초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필름 주변에 드론과 CCTV를 설치해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구조물에 따라 측정값을 입력하면
맞춤형으로 색상이 구현됩니다.

인력은 물론 비용 절감에도
획기적인 전기가 될 이 시스템은
기술 이전을 통해 상용화될 예정입니다.

TJB 양정진입니다.
(영상취재 성낙중)

TJB 대전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