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ubc

ubc 울산방송) 돌아오지 않는 태화강 연어.. 평균 회귀율 0.1%

기사입력
2022-12-12 오전 10:46
최종수정
2022-12-12 오전 10:46
조회수
95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태화강으로 돌아오는
연어 개체 수가 해마다
줄고 있습니다.

올해 회귀한 연어 개체 수는
절정에 달했때와 비교해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는데요,

지금까지 태화강 연어 회귀율이
고작 0.1%에 그치고 있습니다.

신혜지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부화한 지 석 달 된
어린 연어가 힘차게
꼬리를 흔들며
긴 여정을 시작합니다.

어린 연어들은 최대 5년 동안
먼 태평양을 돌며 성장한 뒤
산란을 위해 모천으로
되돌아옵니다.

1960년대 공단 도시로
변모하면서 울산만에서
사라진 연어는 지난 2000년
어린 치어를 대량으로 풀면서
40년 만에 다시 태화강으로
돌아왔습니다.

(브릿지:그로부터
20년 가까이 매년 연어가
나타나며 생명의 강,
태화강의 상징이 됐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CG) 올해 태화강으로
돌아온 연어는 모두 173마리,

지난 2014년 1,827 마리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지난 2020년 일시적으로
늘었지만, 2016년부터
해마다 200마리를 넘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OUT)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바닷물 온도 상승으로
어린 연어가 폐사하는 등
기후변화를 주원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또 인공적인 구조물로 인한
태화강의 생태 여건 변화와
연이은 10월 태풍도
영향을 미친 걸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나리/태화강생태관 연구사 '특히나 태화강 같은 경우에는 10월 초인 회귀하는 시기에 태풍이나 다양한 자연재해로 인해서 회귀량이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지난 2000년부터 올해까지
20여 년간 태화강에서 방류한
연어는 7백73만 마리,
이 가운데 8천5백여 마리만
회귀했습니다.

회귀율이 고작 0.1%로
5% 이상을 넘나드는
미국과 캐나다 등
연어 선진국의 회귀율을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태화강생태관은
지난 2019년부터 회귀하는
어미 연어를 포획하고
알을 연구하며 연어 회귀량
감소의 원인과 대책을
찾고 있습니다.

유비씨뉴스 신혜집니다.




-2022/12/11 신혜지 기자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