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ubc

ubc 울산방송) 도시정원으로 탄소 저감.. 민간정원 5곳 늘어나

기사입력
2022-12-02 오후 9:28
최종수정
2022-12-02 오후 9:28
조회수
145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1000만 그루 나무심기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는데요,

보존 가치가 높은 식물이나
조각품으로 꾸며진
민간정원도 탄소중립을
앞당기는 좋은 사례입니다.

제5호까지 등록된
울산시 민간정원을,
김예은 기자가 둘러봤습니다.

(리포트)
산 중턱에 자리한 드넓은 정원,

늦가을인데도 곳곳에
붉은빛 꽃나무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508㎡ 부지에 나무와
야생화 221종을 보유한
울산시 4호 민간 정원,

사계절 내내 오색 풍경을
감상할 수 있어
'오계절정원'으로
이름 지었습니다.

(인터뷰) 황경숙/'오계절정원' 운영 '(방문객들이) 사계절 꽃이 올 때마다 달라진다고들 말씀을 많이 하셔서..사람들이 많이 좋아해 주시고 좋아하는 모습 보면서 저도 같이 힐링하는 것 같아요.'

앞서 울산에서 가장 먼저
민간 정원으로 지정된 곳은
울주군 상북면의
'온실리움'입니다.

제주 팽나무와 때죽나무,
참꽃나무 등 보존가치가 큰 식물 8천5백여 그루를 보유하고 있어
울산의 민간 정원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곳입니다.

2호인 '구암정원'은
울산의 번화가인
남구 달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모아둔 빗물과 정화한
식당 폐수로 나무를 키우면서
삭막한 옥상을 친환경 공간으로
탈바꿈시켰습니다.

한옥과 소나무, 조각 작품이
어우러진 온양읍의 발리정원은
2년 전 울산의 3호 민간 정원에 등록됐습니다.

여기에 지난달 24일,
울주군 두동면의 '우향'도
민간 정원으로 이름을 올리며
울산의 민간정원은 모두 5곳으로 늘어났습니다.

(인터뷰) 김남희/울산시 생태정원과장 '앞으로도 우수한 민간 정원을 발굴, 명소화해 시민 소통 공간으로 활용하고 생활 속 정원 문화 확산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제각각의 특색을 자랑하는
울산의 민간 정원들은,
도심 가까운 곳에서
색다른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휴식 공간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ubc 뉴스 김예은입니다.




-2022/12/02 김예은 기자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