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bc

지방대 총장협의회 "반도체 인력, 지역에서 양성해야"

기사입력
2022-07-07 오후 5:22
최종수정
2022-07-07 오후 5:22
조회수
109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정부가 반도체 인력 양성 방안에 대해 검토하는 가운데, 비수도권 대학 총장들이 지역 중심의 지원 방안을 요구했습니다.

비수도권 7개 권역 대학총장협의회연합은 오늘(7일) 입장문을 내고 "정부의 반도체 인력 양성 대응은 비수도권 대학에 심각한 위기의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수도권 제외 9개 광역지자체를 중심으로 인재 양성을 추진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또 "수도권 대학 정원의 총량규제는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에 대한 가장 확실한 방어책이자 최후의 보루"라며 "수도권 대학 정원 총량을 늘리면 그 증원 부분만큼 지역대학을 직접 타격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교육부 등 정부부처는 윤석열 대통령의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 주문에 따라 '첨단산업 인재양성 특별팀'을 꾸리고 인재양성 지원 방안을 마련에 들어갔습니다.

하지만 그 방안 중 하나로 수도권 대학 학과 정원을 증원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비수도권 대학들이 일제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총장협의회연합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 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반도체 분야 부족인원이 약 1,500명, 이 가운데 대졸 인력 부족분은 530명으로 추산하고, 수도권 제외 9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소재 국·공·사립대 10여 곳을 선정해 대학별로 60여명씩 양성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관련 기업과 연계해 채용연계형 계약학과를 설치·운영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제시했습니다.

이와 함께 수도권 대학은 학부 학생정원을 늘리는 대신 대학 내 정원을 조정하는 등 시스템 반도체 특화 전공을 자체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오는 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전달할 예정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