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knn

[건강365]-집콕 생활에 테니스엘보 늘었다!

기사입력
2021-03-24 오전 06:38
최종수정
2021-03-24 오전 09:56
조회수
105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건강365]-집콕 생활에 테니스엘보 늘었다!
{앵커:
집콕생활에 팔꿈치 질환이 늘었습니다. 가사일이 반복되면서 피로감이 쌓이는 건데요.
오늘은 테니스엘보에 대한 정보 나눠봅니다. }

{리포트}

우리나라 여성은 매일 평균 세 시간이 넘는 가사노동을 합니다.

남성의 4배! 집콕생활이 늘면서 집안일 부담은 더 늘었습니다.

온종일 무거운 냄비를 옮기고 행주를 짜다 보면 팔꿈치가 뻐근해지죠.

테니스엘보가 실제로 테니스와 상관없는 주부들에게 생기는 겁니다.
================================

{김준석 부산큰병원 대표원장 / 가톨릭대 의과대학 졸업, 현 가톨릭의대 정형외과 외래교수}

{한 번에 [단독 손상]으로 발생하기보다는 [반복적]으로 [과사용]에 의해서 [힘줄의 변성]이
생기게 되고 힘줄이 제대로 회복되지 못한 채 [변성]이 [누적]되면 결국 힘줄의 [변성이 심해져서]
[통증]을 동반하게 됩니다. }
================================

테니스엘보 환자 3명 중 2명은 사오십대, 여성이 많습니다.

대부분은 가벼운 근육통 정도로 생각하는데요.

증상을 무시하면 수저를 들기 힘들 정도로 나빠집니다.
================================

{[과도한 활동] 후에 [통증]이 발생했거나 [팔꿈치 외측] 부위를 손가락으로 눌러
[압통]이 심해진다든지 아픈 팔꿈치를 [고정한] 후에 [손목]에 힘을 주어 [뒤로 젖혔을 때]
팔꿈치 쪽에 [통증]이 발생한다면 [테니스엘보]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
================================

초기에는 충분히 쉬면서 차가운 찜질로 부기를 가라앉혀야 합니다.

치료시기를 놓치고 무리하면 힘줄이 아예 찢어질 수도 있습니다.
================================

{김준석 / 정형외과 전문의 }

{[보존적 치료]가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직 변성]이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조직 재생]을 돕는 치료를 시도해야 하는데 PRP(혈소판 풍부혈장) 치료나
체외충격파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전이 안되는] 경우에는 간단한 [팔꿈치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

어깨와 팔을 스트레칭 하고 근력을 키우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통증이 심할 때는 운동 대신 푹 쉬는 게 낫습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