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당장 수술? 다양한 허리디스크 시술법
{앵커: 허리디스크 수술은 환자에게 큰 부담입니다.
수술을 하기 전에 몇 가지 시술을 시도해볼 수 있는데요. 건강365에서 차례로 비교해봅니다. }
{리포트}
허리디스크, 더 이상 나이가 들어서 생기는 병이 아닙니다.
생활습관 변화로 젊은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
다행히 대부분은 당장 수술을 안 해도 되고, 환자의 부담을 덜어주는 다양한 시술법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
{박현준 힘찬병원 원장 / 가톨릭중앙의료원 신경외과 전문의 수료, 대한신경외과학회 정회원}
{허리디스크 [초기]에는 디스크 안의 [수핵이 부풀어올라] [섬유륜]이 약간 [밀린 상태]이거나
척추 주위의 [근육]과 [인대]가 [약해질 때.] 즉, 이 상태는 [추간판이 탈출]한 허리디스크라기보다는
[허리디스크]로 발전할 수 있는 [시작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갑자기 [허리를 삐끗]하거나 허리에 [찌릿한 통증]을 느끼신다면 허리디스크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
초기라 해도 디스크가 한 번 발생했다면 꾸준히 관리해야 합니다.
바른 자세와 휴식, 코어 힘을 기르는 운동도 필요한데요.
다만 통증이 계속 심해지면 치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
================================
{프롤로주사치료는 [고농도]의 [포도당]을 통증 부위에 [주입해] 인위적으로 염증 반응을 일으켜
우리 몸이 [혈관을 재생]시키는 [세포]나 [염증 완화 물질]을 분비하는 [단백질]을 불러 모아
[손상된 조직]의 [회복]과 [강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 방법으로
[인대 강화] 주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
이런 주사치료에 반응이 없으면 다른 비수술 치료를 시도해 봅니다.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을 찾아내서 치료하고 직접 약물을 넣는 겁니다.
================================
{박현준 / 신경외과 전문의 }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보다 직접적으로 [약물]을 [병변에 주사]해
[염증]과 [부종]을 [감소]시켜 [신경 압박]을 [완화]하는 치료 방법인 신경차단술이나
특수 카테터를 이용해 [체내]로 들어가서 [신경 유착을 박리]한 후 [약물을 투여]하는 신경성형술 등
환자의 [상태에 맞는] 시술을 선택해 보다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합니다. }
================================
이런 비수술 치료도 시술 경험이 많은 의료진이 필요합니다.
비교적 간단하긴 하지만, 환자의 건강 상태와 통증 부위를 정확하게 진단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