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양팔 힘 빠져요 '경추척수증' 의심!
{양팔 힘 빠지면 '경추척수증' 의심! }
{앵커: 경추척수증이라고, 마비를 부르는 병이 있습니다.
뇌졸중과 감별이 필요한데요. 양팔이나 양다리의
힘이 빠지는 느낌이라면 진단이 필요합니다.
건강365입니다. }
{리포트}
젓가락질이 잘 안되고 제대로 걷기 힘들 때가 있습니다.
뇌졸중일까요? 의외의 질환 때문일 수 있습니다.
경추척수증인데요. 목뼈를 지나는 신경을 누르는 겁니다.
================================
(강성식 건강만세365병원 대표원장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척추) 조교수 역임,
미국 경추학회(CSRS) 정회원 )
{일반적인 [목 디스크]는 우리 몸의 [말초신경]을 눌러서 생기는 병입니다.
가벼운 [물리]치료와 [약물]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로 대부분 [호전]됩니다.
이와는 달리 [경추척수증]은 우리 몸의 [중추신경]이 눌러져서 발생하게 됩니다.
경추척수증은 [비수술적 치료]에 [효과가 없고] 치료가 늦어지면 [마비]가 심하게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
================================
원인은 다양합니다.
척수 신경 통로가 날 때부터 좁거나 디스크 탈출증이 있을 때.
퇴행성 변화로 자란 뼈가 신경을 압박하기도 합니다.
================================
{[뇌졸중]은 [말]이 [어눌해지면서] 이와 동시에 [편마비], 즉 [한쪽 팔]과 [한쪽 다리]에
[마비]가 갑작스럽게 생기는 반면에 [경추척수증]은 [의식]이나 [언어장애]없이 [양팔]이나
[양다리]에 [힘]이 [서서히 빠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
이 병은 약을 먹는 것만으로는 치료가 힘듭니다.
신경이 얼마나 압박되는지 확인해서 수술 여부와 방법을 결정합니다.
================================
(강성식 / 건강만세365병원 대표원장 )
{[척수]가 [오랜] 시간 [눌리게] 되면 [허혈성 변화], 즉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서서히
[마비]가 진행하게 됩니다.
[수술]로써 압박된 [척수]를 감압해주면(압력을 줄이면) [마비]로부터 [해방]되실 수 있습니다. }
================================
경추척수증을 완벽하게 예방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대신 바른 자세와 스트레칭으로 목이 받는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