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지난해 수수료를 받지 않는
공공 배달앱을 도입해, 소상공인들이
민간 배달앱 업체에 주는 수수료 부담을
덜었는데요,
익산시도 올해 안에 공공 배달앱을
운영하기로 했는데, 고민도 적지 않습니다.
김진형 기자입니다.
군산형 공공 배달앱이 첫 선을 보인
지난해 3월, 이용자 5천 명이었습니다.
한 해가 지난 지금 이용자는
12만 명으로 24배 늘었습니다.
공공 배달앱이 성장한 만큼,
소상공인들이 민간 배달앱 업체에 지급하는
수수료 부담은 줄었습니다.
<인터뷰>김우성 음식점 대표
(배달) 수수료를 10%에서 15%를 떼가다
보니까 아무래도 저희 부담이 컸어요.
공공앱은 수수료를 안 받다 보니까 저희가 아무래도 부담이 덜해지고...
익산시도 올해 안에 공공 배달앱을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전라북도가
광역 공공 배달앱 개발과 도입 계획을 접자
익산시 독자적으로 추진하기로 한 겁니다.
익산시는 군산처럼 공공 배달앱을 직접
개발할 지, 아니면 서울시처럼
기존의 민간 배달앱 업체를 활용할 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공공 배달앱을 직접 개발해 운영하면
소상공인이 부담하는 수수료는 없어도
예산이 많이 드는 게 단점입니다.
반면, 민간 배달앱 업체를 활용하면
예산 부담이 적고 공공이 시장에
개입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상공인이 2% 이하로 낮긴 해도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더구나 지역에는 배달앱 업체가 거의 없어
타지역 업체가 참여할 경우
수수료 역외 유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싱크>익산시 담당자
명확하게 말씀을 못 드리는 게 어떤 방식으로 가느냐에 따라 예산이 달라지거든요.
그래서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갈 것인가
논의 중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익산시가 소상공인과 지역 소비자, 모두가
만족하는 공공 배달앱을 내놓을 지
주목됩니다.
JTV뉴스 김진형입니다.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