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knn

부동산 공급 확대, 이번엔 과잉 공급 우려?

기사입력
2021-02-04 오후 8:42
최종수정
2021-02-04 오후 8:42
조회수
125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오늘 발표된 정부의 부동산 공급대책은 서울 등 수도권에 초점이 맞춰졌는데요. 부산경남의 경우 집값 상승이 공급부족 때문만이 아닌 만큼, 수요가 몰리는 지역에 공급을 늘려주는 세밀한 후속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성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의 2.4 부동산 대책의 핵심은, 공급 확대입니다.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은 어느 곳 하나 가릴데 없이 공급이 크게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변창흠/국토교통부 장관/"특히 내집에 사는 분이 적고 상대적으로 주거여건이 열악한 곳이 많은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 집중적으로 주택을 공급할 필요가 있습니다."} 5대 광역시에는 2천25년까지 22만호가 공급되는데, 인구대비로 계산하면 부산에는 1년에 대략 만 5천호 정도가 더 늘어나는 셈입니다. 하지만 수도권과 지역 사정은 조금 다릅니다. 부산 집값 상승의 가장 큰 이유가 해운대와 수영,남구,동래 등 특정지역에 수요가 몰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역 사정을 고려한 세밀한 공급 대책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오히려 공급 과잉도 우려됩니다. {강정규/동의대 부동산대학원장/"우리 지역에 공급을 늘리겠다는 물량이 과연 수요가 있는 지역에 얼마나 할당되겠느냐는 측면에서 봤을때, 오히려 공급 과잉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역세권과 준공업지에 인센티브를 줘, 개발을 유도하는 도심공공주택사업에 대한 기대는 큽니다. 특히 주거지와 인접한 부산 반여동과 용호동, 수영동, 구서동 일대 준공업지역에 대한 개발 수요가 예상됩니다. {이영래/부동산서베이 대표/"사실상 준공업지역 기능이 떨어지는 곳이기 때문에 그런 곳에는 천5백평(5,000제곱미터)이내라면 충분히 아파트로 할 수 있다는 겁니다."} 공공재개발도 확대되면서, 그동안 사업성이 떨어져 지지부진하던 역세권 인근 사업지는 활기를 띌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수도권 집값이 안정되면, 인구의 역외 유출이 더 가속화될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도 내놓고 있습니다. KNN김성기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