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프로야구선수 SNS에 관한 보도들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실제 SNS 상에서 발생하고 있는 피해 사례의 수위가 준 형사범죄 수준에까지 이르는 등 훨씬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에 사단법인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회장 양현종, 이하 ‘선수협회’)는 향후 피해 선수들을 대신해 법적 절차를 대리 진행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해 나가겠다 밝혔습니다.
선수협회는 지난 8월 20일(수) ~ 24일(일)까지 5일간 국내 프로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SNS 피해 실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프로야구선수 SNS 피해에 대한 현재 상황을 정확히 가늠하고 이에 대한 선수협회 차원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취지로 진행됐으며, 총 163명의 선수가 참여했습니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피해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댓글이나 DM의 경우가 61%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족 및 지인 계정에도 12%를 나타내는 등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뤄지는 피해 사례는 전체 중 73%에 육박했습니다.
피해 발생 시기는 응원 구단이 경기에서 지거나 선수가 실책을 범한 직후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56%) 특정 상황을 가리지 않고 시즌 내내 이어진다는 응답도 15%에 달했습니다.
피해 대상은 선수 본인(49%)은 물론 부모님(31%)이나 배우자 및 여자친구(13%)에게도 무차별적으로 이뤄지고 있었으며 가해 유형은 경기력 비난(39%) 외에도 가족이나 지인을 대상으로 비방하는 경우(29%)도 많았는데 특히 이 중 살해 협박, 성희롱, 고인(가족) 모독, 스토킹·주거 침입 등 형사범죄에 해당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어 임계치를 이미 넘어서고 있다고 선수협회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SNS의 피해 사례는 선수들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로 작용(36%)하고 있었으며, 이는 경기력 저하(14%), 수면·식욕 저하(11%)로 이어지기도 하고 특히 이 중 은퇴나 이적까지 고려하는 사례도 4%에 달해 SNS 피해는 프로야구선수 커리어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에 반해 선수들은 이런 심각한 상황 속에서도 무시·감수(39%), 차단·댓글 신고(28%), 댓글·DM 제한 등 대부분 소극적인 대응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피해 선수 중 과반이 넘는 선수(55%)들이 선수협회 차원의 대응이나 도움을 요청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선수협회는 지난 8월 20일 프로야구선수를 향한 악성 댓글을 자제하고 건강한 응원문화를 조성해 달라고 읍소 드리는 형태의 호소문을 발표한 바 있지만 이후에도 프로야구선수들의 SNS에서는 여전히 피해가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이번 조사 결과,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안으로 곪고 있는 악성 사례들은 상식선마저 뛰어넘고 있어 선수협회는 이에 대해 강경하고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계획입니다.
선수협회는 향후 발생하는 비상식적인 악성 사례들은 ‘SNS 상에서 이뤄지는 사이버 테러’로 규정하고 이에 대해서는 무관용의 원칙을 천명, 협회 차원에서 강경하게 대응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한 실효적이고 현실적인 대응으로는 선수협회가 피해 선수들을 대리해 법적 절차(형사고소·법적소송 등)를 진행하는 형태도 고려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SNS 피해 발생 상황에 대한 프로토콜 및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선수단에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도 병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