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전국 각지에서 도농 통합을 하고,
민선 지방자치가 시작된지 꼭 3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1995년 이후
벌써 강산이 세 번 변할 시간이 지났고,
꼬박 한 세대가 흘렀습니다.
전북은 요즘,
이 때 하지 못한 전주-완주 통합 문제로
또다시 진통을 겪고 있습니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지만
30년 전 두 지역이 통합이 됐더라면
어땠을까요?
데스크 논평입니다.
김영삼 대통령 시절이있던 지난 1994년.
정부는
도농 통합에 드라이브를 걸었습니다.
이 때는 관선 시절이어서
도지사가 통합 대상 시군을 선정해
내무부에 올리면 통합이 이뤄졌습니다.
군산시와 옥구군, 이리시와 익산군,
정주시와 정읍군,
그리고 남원시.군과 김제시.군이
이런 절차를 거쳐
이듬해 95년에 통합이 됐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도 전주와 완주는
통합 대상으로 올려지지 않았습니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수많은 일이 결합돼 빚어진 역사에서,
훗날 '그 때 만약에'라고 가정을 해봐야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지역의 상황을 진단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정을 한번 해볼까 합니다.
만약,
1995년 전주가 다른 다섯 개 시처럼
인접한 완주군과 통합이 됐고,
나아가 직할시가 됐다면 어땠을까요?
아마도, 전북 중심권의 도시 중핵 기능이 지금보다는 한층 더 탄탄해졌을 겁니다.
대전충남권과 광주전남의 틈바구니에 끼어 전북의 존재감이 희미해지는 일도,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도민도, 지금보다는
적었을 겁니다.
혁신도시도 전주광역시와 전라북도의 몫이 각각 배정돼, 두 곳에 조성이 됐겠지요.
무엇보다 광주.전남에 치이고 밀리다 못해
특별자치도로 이름까지 바꿔서 홀로서기에
나서는 일도,
통합을 놓고 네 차례나
갈등과 대립을 겪는 일도 없었을 겁니다.
1995년 도농 통합 이후 한 세대 만에
전북의 1인당 GRDP 지역내총생산은 도지역 가운데 꼴찌가 됐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전북은 3,628만 원 수준.
충청북도는 우리보다
무려 50%가량이나 많은 5천4백만 원선이고
제주, 강원도 우리를 앞질렀습니다.
여러 수치가 증명하는
전북의 낙후와 추락은 참담한 수준입니다.
물론, 30년 전
전주와 완주가 통합되지 않은 것만으로,
이 모든 상황을 다 설명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다만, 그 때 통합이 됐더라면,
전북의 처지가 그래도 조금은 낫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은 떨칠 수 없습니다.
전북, 이대론 안 된다고 모두가 말합니다.
그런데, 말은 무성하지만
저마다의 정치적 셈법은 제각각입니다.
생각은 서로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상대에게 물을 뿌리고 위력을 행사하는 건, 단순한 반칙을 넘어, 폭행죄에 해당하는
범죄행위입니다.
정정당당한 공론의 장이 조성돼야 합니다.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찬성이든 반대든 완주군민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럴 때 비로소 통합이 되든, 되지 않든
찬반 양측 모두 결과에 깨끗이 승복할 수
있습니다.
결과를 떠나 다시 손을 맞잡고
지역발전을 위해 함께 나아갈 수 있습니다.
다행스러운 건, 이번 주
우범기 전주시장과 유희태 완주군수가
세 차례나 TV 토론을 실시한 것입니다.
완주 안호영 국회의원도
김관영 지사와 토론할 뜻이 있다고 밝힌
만큼, 이 역시 정치적 제스처가 아니라면, 하루 빨리 도지사와 마주 앉기 바랍니다.
네 번째 전주-완주 통합 시도가
어떻게 결론날 지, 아직은 알 수 없습니다.
또다른 역사의 갈림길에 선 전북.
한 세대가 지난 후
2025년의 선택은 또 어떻게 평가될까요?
"역사는
우리에게 선택의 중요성을 가르친다"
미 국무장관을 지낸 콘돌리자 라이스의
말입니다.
데스크 논평입니다.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