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일상에서 겪는 어지럼증 원인 가운데 가장 흔한 게 바로 '이석증'입니다.
재발이 흔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제대로 진단해서 치료하는 게 중요한데요.
관련 정보, 건강365에서 살펴봅니다.
<리포트>
온 세상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어지럼증!
원인은 뇌가 아닌 귀에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김보영 명작이비인후과 대표원장 / 동아대 의학석*박사, 동아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외래교수)
{Q.이석증 특징, '회전성 어지럼증'이란? }
{이석증은 특정한 자세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회전성 어지럼증이 특징입니다.
어떤 반고리관에서 발생 하느냐에 따라서 특징적인 증상이 다른데요.
대부분은 자다가 잘 빠지기 때문에 옆 반고리관에 생겼을 때는 자다가 좌우로 뒤척였을 때, 그리고 뒷 반고리관에 빠졌을 때는 자다가 갑자기 일어났을 때, 아니면 자려고 뒤로 누울 때 갑자기 핑 도는 증상이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
================================
이석증은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전정기관 안에 있는 작은 칼슘 덩어리가 자리를 벗어나 반고리관으로 흘러 들어가면서 생깁니다.
노화나 스트레스, 외부 충격 같은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데요.
================================
{Q.이석증 진단, 반고리관을 살펴라? }
{이석증은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요.
예를 들면 오른쪽인지 왼쪽인지, 오른쪽이라면 옆 반고리관인지 윗 반고리관인지 뒷 반고리관인지 진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를 눕힌 상태에서 머리를 좌우로 돌리거나 앉거나 눕힐 때 비정상적인 안진(눈 떨림)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하면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기 안진 검사를 이용한다면 미세한 안진까지 진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석증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
================================
이석증은 재발이 잘 되는 편입니다.
중년이 넘었거나 폐경기 여성이 더 조심해야 하는데, 체력이 떨어진 젊은 층도 안심할 수만은 없는데요.
부족한 수면과 비타민 D를 채우고 머리를 갑자기 돌리는 습관도 삼가야 합니다.
한편 이석증은 약을 먹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고 물리적인 시술이 필요합니다.
================================
(김보영 / 명작이비인후과 대표원장 )
{Q.재발 흔한 이석증, 주의사항은? }
{정확하게 이석 정복술을 한다면 80% 정도에서는 한 번만으로도 호전이 되실 수가 있는데 재발을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하고 2~3일 정도는 머리를 무리하게 움직이는 동작은 피해 주시면 좋겠고요.
2~3일 정도는 베개를 30도 정도 높게 베는 게 도움이 되겠고요.
치료를 한 당일은 운전이나 무리한 활동은 피해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
================================
이석증은 귀에서 시작되는 증상이지만 청력이 떨어지는 문제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귀가 먹먹하거나 삐, 하는 소리가 들리는 이명이 동반된다면 메니에르병이나 돌발성 난청과 연관이 있어서 별개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