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추가 1조 원에 시간도 2년 더 달라고?"

기사입력
2025-04-29 오후 8:50
최종수정
2025-04-30 오후 9:03
조회수
6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공사기간을 2년 더 늘려야된다는 시공사 요구에 가덕도신공항 사업이 암초를 만났다는 소식 어제 전해드렸는데요. 대선이라는 혼란스런 상황까지 노린 것으로 보이는 시공사의 몽니가 1차 원인이지만 정부와 부산시 역시 책임론에 휩싸였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공사기간을 9년으로, 공사비도 1조원 이상 늘려달라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요구는 상당히 비상식적입니다. 당초 공사기간 7년을 조건으로 한 입찰에도 유일하게 응해놓곤, 수의계약이 기정사실화되자 수익을 극대화하려고 입찰조건까지 어기며 배짱을 부리는 격입니다. {이지후/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대표/"착공 시기가 혹시나 늦어질까 해서 수의 계약을 통해서라도 현대(건설) 컨소시엄 (낙찰)을 지지를 해 줬습니다. 우리 부산 시민들에게 정말 씻을 수 없는 배신감을 안겨준 행위라고 여깁니다."} 국토부는 현대측에 소명자료 제출을 요구하는 동시에 새로운 시공사 선정 절차 준비까지 예고하는 등 강경한 입장입니다. {박상우/국토교통부 장관/"(현대측 태도에) 저희도 굉장히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고요. 보완되지 않을 경우에는 저희가 플랜B를 가동해야 되지 않겠습니까."} 하지만 우선협상대상자 지정 직후부터 공사기간 연장 필요성 여론을 확산시키려는 현대측 움직임이 공공연했는데도 결국 대처에 실패했습니다. "국책사업인만큼 이번 파문의 책임과 해결 주체는 국토부입니다. 그럼에도 '조기개항'을 공언해온 부산시 역시 책임론에서 비껴갈 수 없는 지경입니다." 현대건설 전 임원을 부시장급 신공항특보로 영입했지만 결과는 난처한 상황이 됐습니다. 게다가 비판 여론을 의식한 듯 정부로 화살을 돌리는 인상까지 비췄습니다. {김도읍/국회의원(국토위)/"가덕신공항 건설의 한 축인 부산시는 정부의 책임있는 결단과 실질적인 조치를 촉구한다며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고 있습니다."} 현대측이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면 새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사업진행은 중단될 가능성이 큽니다. 현대측의 입찰자격을 박탈하고 시공사 재선정에 들어간다하더라도 물리적으로 최소 6개월 이상 사업 지연은 불가피합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황태철 박언국 영상편집 이소민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