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거리에 방치돼 있는 전동 킥보드 때문에
불편을 겪으신 분들 계실 텐데요.
전주시가 단속을 하고 있지만
4천 대가 넘는 킥보드를 관리하기엔
역부족입니다.
때문에 킥보드 이용자들의 책임을 강화하는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상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인도 한가운데에 전동 킥보드가
덩그러니 놓여있습니다.
보행자들은 좁은 길에 놓여있는 킥보드를
넘어가거나 돌아서 지나갑니다.
[박현정 / 전주시 금암동 :
차도로 돌아갔었던 적도 있었습니다. 아무 데나 세워놔 가지고 그게 넘어져 있거나
그럴 때 항상 좀 불편했었던 적이...]
현재, 방치된 킥보드의 단속은
전주시가 계도장을 붙여놓은 뒤 1시간 안에 치우지 않으면 견인하고, 킥보드 업체에게
견인료를 청구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하지만 공무원 2명이 1주일에 두 차례
단속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전주시 관계자 (음성변조) :
물리적으로 2명이 4천 대를 단속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죠). 저희가 인원을 채용해서 관리한다는 것도 현재로서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용자가 반드시 킥보드의
고유번호와 반납한 공간이 나오도록
사진을 찍어서 킥보드 업체에 보내는 등의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김필수 / 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그냥 반납하고 하는 게 아니라 사진을
찍어서 그거를 본사에다가 보내게끔 하는 의무 사항도 넣게 되면 괜찮거든요.]
지자체의 단속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킥보드를 방치한 시민의 이용을
제한하는 등 책임을 강화하는 대책도
검토해 볼 시점입니다.
JTV 뉴스 정상원입니다.(JTV 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