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반얀트리 화재, 이례적 기업대표 구속에 건설업계 긴장

기사입력
2025-04-07 오후 8:51
최종수정
2025-04-07 오후 8:51
조회수
2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6명의 사망자를 낸 반얀트리 참사는, 화재를 막을 예방조치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한 전형적 인재로 드러났습니다. 또한 수사당국은 사안을 중대성을 감안해 시공사 대표 등을 이례적으로 구속했는데, 지역 건설업계에 파장이 예상됩니다. 최혁규 기자입니다. <기자> 작업장 한켠에서 갑자기 검은 연기가 치솟습니다. 작업자들이 대피해보지만, 연기는 삽시간에 작업장을 뒤덮습니다. 현장노동자 6명이 숨진 반얀트리 참사 현장입니다. "경찰 조사결과 이번 화재는, 지상 1층 용접과정에서 생긴 불티로 시작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불티가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 뚫어놓은 구멍 속으로 빠졌고, 지하 1층의 배관보온재에 위로 떨어져 화재가 시작된 겁니다."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설치한 스프링클러 역시 작업 편의를 위해 밸브를 잠가놓는 등, 화재예방시설은 유명무실했습니다. 이번 사고와 관련해 수사당국은 시공사 대표 2명을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으로 구속했습니다. 2022년 법 시행이후 부산에서는 처음이고 전국에서는 세번째인데, 시공사의 안전관리의무가 소홀했던 사항을 중요하게 본 겁니다. {한동훈/부산경찰청 형사기동대장/"사안이 매우 중요하고요. 구속사유는 도주우려 증거인멸 우려인데, 소방사용 승인 부분에서도 약간 그런 게 있었는데 어쨌든 관련자들 간의 입맞춤 이게 주요 (구속영장 발부) 원인이 된 것 같습니다."} 노동청은 중처법 상 안전보건 확보의무는 원청 경영책임자에 있다며 구속의 정당성을 뒷받침했습니다. {박희주/부산지방고용노동청 광역중대재해수사과장/"안전보건확보 의무가 경영 책임자에게 부여되어 있습니다. 현장에서 안전보건 조치가 실행되지 아니하였다 이러한 점들이 중대재해처벌법의 주요한 결정사항이 되겠습니다."} 지역 건설업계, 특히 안전비용을 들일 만한 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영세 건설업체는 비상이 걸렸습니다. {지역건설업계 관계자/"종합(건설업)에서는 나름대로 자금 능력도 있고하니까 여러가지 안전관리체계라든지 기사라든지 이런 사람들을 구하기 쉽지만, 실제 시공하는 (영세건설업체) 사람들은 체계를 구축할 자금이 많이 부족한 게 사실..."} "경찰은 사용승인 과정에서 기장군청과 소방당국의 위법사항은 없는지, 향후 수사과정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입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편집 이소민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