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전세계 바다를 누비며
해저 에너지, 광물 자원을
발굴할 탐사연구선
'탐해 3호'가 첫 항해에 나섰습니다.
세계 각국의 해양 자원 확보 경쟁이
치열한 상황 속에서 최첨단 탐사 능력을
갖춘 '탐해 3호'가 우리나라의
자원개발 역량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전망입니다.
김철진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 기자 】
길이 92미터, 선폭 21미터의
거대한 물리탐사연구선
'탐해 3호'가 바다를 향해 나아갑니다.
지난 27년간 바다를 누비고 퇴역한
'탐해 2호'의 바통을 이어 받는
역사적인 순간입니다.
7년간 1800억원에 달하는 국비가
투입된 '탐해 3호'는 전 세계 모든 해역에서
해저 자원탐사를 수행할 수 있는
6천 9백톤급 물리탐사연구선입니다.
▶ 스탠딩 : 김철진 / 기자
- "저는 지금 부산 앞바다를 운항 중인 탐해 3호에 탑승해 있습니다. 탐해 3호는 기존 탐해 2호보다 3배가량 커진 규모로 보다 더 멀리 오랜 기간 운항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규모가 커진 만큼
해저자원 탐사 역량도
높아졌습니다.
탐사선의 핵심 장비인
물 아래 음파를 쏘는 '에어건'과
긴 줄 모양으로 반사된 음파를 감지하는
수신기 '스트리머'는 각각 1.5배와 8배
확대돼 효율적인 탐사가 가능해졌습니다.
▶ 인터뷰 : 최윤석 / 지질자원연구원 해저지질탐사연구센터장
- "탐해 2호에 비해서 탐해 3호는 스트리머를 8줄 이상 낼 수 있기 때문에 4배 이상 빠르게 3D 탐사를 수행을 할 수 있고…."
3차원 탐사뿐 아니라 시간에 따른 해저 지층
변화를 감지하는 4차원 탐사 능력도 갖추고
있어 해저 지진 위험 요인을 탐지하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해저 지층에 저장할 수 있는
입지 선정 등에도 활용 가능합니다.
특히 내빙 장치까지 장착돼 있어
북극 등 극지 탐사도 가능해 어디서든
희토류와 같은 광물자원개발에
나설 수 있습니다.
▶ 인터뷰 : 김병엽 / 지질자원연구원 해저지질에너지연구본부장
- "대양의 태평양 공해에 이런 첨단 탐사선을 이용해서 희토류와 핵심 광물의 분포를 저희가 확인을 하고 나중에 개발을 해서 우리나라 핵심 광물의 공급망을 다변화시키는…."
'탐해 3호'는 이달부터 서해 앞바다 3D 탐사를
시작으로 전세계 바다를 누비며 대한민국
해저자원 탐사 기술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알리는 국가대표급 '바다 위 연구소'
역할을 하게 됩니다.
TJB 김철진입니다.
(영상취재: 박금상 기자)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