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역에서 대규모 개발사업이 진행되더라도 실제 일감 대부분을 서울의 대형업체들이 챙겨가는게 현실인데요,
지역 업체 참여 기회를 넓혀달라는 업계 요구에 부산항만공사가 적극 호응을 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북항 1단계 재개발사업에서는 친수공원도 대규모로 조성됩니다.
전체 면적만 부산시민공원의 절반 규모입니다.
먼저 공사에 들어간 1호 공원은 이르면 다음 달 중으로 시민에게 개방됩니다.
"삭막했던 부두가 친수공원으로 바뀌면 시민과 지역사회가 큰 혜택을 보게 됩니다.
여기에다 조성공사에도 지역 건설업체가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현재 남은 공사발주분은 모두 540억원 규모.
'현행 규정상 지역업체 의무공동도급 기준을 넘어섭니다.
지역업체 참여가 힘든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시행자인 부산항만공사가 공구를 2개로 나누는 분할발주 방식을 선택하면서 문제가 해결됐습니다.'
{김병수/부산항만공사 재생개발실장/"(내년까지)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해야 될 시점에 조경공사하는 면적이 상당히 넓습니다. 분리발주를 함으로써 지역업체들이 (동시에) 많이 참여할 수 있게 되고 그럼으로 인해서 사업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규정상 최대 비율인 40%가 적용될 경우 200억원대의 공사금액이 지역 업계 몫으로 돌아옵니다.
지역 조경업계 입장에선 오랫만에 큰 시장이 생겼습니다.
{박만일/대한건설협회 부산시회장/"지역업체를 살리겠다는 (부산항만공사의) 의지가 강했다고 볼 수 있죠. 단비와 같은 아주 고마운 결정이죠."}
발주기관의 의지만 있다면 막대한 지역 개발이익의 역외유출을 줄일 수 있다는 상생의 사례가 생겼습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