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이태원 참사의 영향으로
울산시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안전'이 화두입니다.
연말연시 대규모 밀집 행사와
국가산단 중대사고에 대한
안전대책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배윤주 기잡니다.
(리포트)
이태원 참사의 여파로
울산시 행감의 쟁점도
안전이었습니다.
짧은 시간, 대규모 인파가
모이는 간절곶 해맞이 축제와
중구 눈꽃축제 등 연말연시
행사에 대한 안전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싱크) 권태호/울산시의원
'원도심 같은 경우에는 소방서 광장에 펜스가 쳐져 있는 상태에서, 여러 골목으로 돼 있다 보니까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도 면밀히 안전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말씀을 드리고요.'
울산시는 행사에 주최가
있든 없든, 지역 경찰과 협업해
사각지대 없이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싱크) 박경례/울산시 안전총괄과장 '안전 관리요원의 배치는 적절한지, 진출입 동선은 합리적으로 구성돼 있는지, 그리고 안전관리요원에 대한 인건비라든지 이런 산정들은 제대로 됐는지 이런 것들을 살펴보고 있다는 답변을 드리고요.'
연례행사처럼 되풀이되는
국가산단 중대사고도
도마에 올랐습니다.
최근 5년간 울산국가산단의
폭발, 화재, 유해 물질
누출 사고는 모두 708건,
특히 올해 초 중대재해법이
시행되고도 발생한
SK지오센트릭과 에쓰오일
사고를 꼬집어 지적했습니다.
울산시는 내년 말 개관 예정인
통합안전관리센터를 중심으로
국가산단 위험요인을
살필 계획이지만,
한계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싱크) 이흠용/울산시 원자력산업안전과장 '(기업체) 사내에 대해서는 저희들이 시로서는 접근할 권한은 없습니다만은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하고 저희들이 한 번씩 같이 (점검하고 있습니다.)
(싱크) 공진혁/울산시의원
'(사기업이기 때문에) 비밀이라는 명목 아래 그 부분을 점검하지 못한다고 하면, 울산시민들은 어디에서 안전을 찾고 어떤 곳에서 일터를 믿고 일을 하겠습니까.'
이 밖에 북한의 울산 앞바다
미사일 발사 주장 관련해
유사시 재난 경보와 대피 방안,
원전 사고 대처도
이슈가 됐습니다.
ubc뉴스 배윤줍니다.
-2022/11/08 배윤주 기자
< copyright © u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