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1년에 해양쓰레기가
14만4천톤이 나온다는 사실 알고 계십니까?
보기에도 좋지 않지만,
해양생태계에도 치명적인데요.
국내연구진이
해양쓰레기를 청소하는
무인 청소로봇을 개발해
실증실험을 마쳤습니다.
장석영기잡니다.
【 기자 】
많은 선박들이 정박해있는
서천 홍원항,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등
쓰레기들이
조류나 파도에 실려 항, 포구로
밀려들어 좁은 공간에 쌓여있습니다.
방파제와 선박 사이,
공간이 좁아 사람이나 선박이
접근하기 어렵다보니 수거도 어렵습니다.
미관상 좋지 않을 뿐더러
해양 생태계를 심각하게 교란시키지만,
수거율은 40%도 못 미치는 실정입니다.
생산기술연구원이
충남도와 협업해
해양쓰레기 수거 무인 로봇을 개발했습니다.
선박과 선박, 방파제 사이를 돌아다니며
쓰레기를 삼키는 250kg급 무인 청소로봇,
파고가 있는 해양 환경에서도 1.2m/s속도로
최대 6시간 운용이 가능합니다.
쓰레기가 밀집된 좁은 구역에서는
1km이상 떨어진 곳까지
원격 조종이 가능하고,
넓은 구역에서는 자율주행이 이뤄집니다.
그동안 해양 부유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 개발이 추진됐지만,
항,포구에 특화된 수거장치 개발은
처음입니다.
▶ 인터뷰 : 하경남 박사 / 한국생산성기술연구원 해양로봇센터
- "넓은 구역에서는 스스로 GPS 기반의 항법 시스템을 활용해 자율적으로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부잔교, 로프 등이 다수 분포하는 소형 항포구에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한 형상으로 설계 제작되었습니다."
수거로봇 시제품은
무게, 속도, 운용시간,
통신거리 전 항목에서 목표 성능을
만족시켰고,
홍원항에서의 실증시험을 거쳐
충청남도에 이관됐습니다.
▶ 인터뷰 : 오단비 / 충남도 해양정책과
- "사람 인력이 닿지 않는 곳에는 항상 쓰레기가 이제 항상 쌓여 있고 수거하기가 굉장히 어려웠던 부분인데 수거 로봇을 이제 인용을 해가지고 운영을 해서 수거를 할 수 있으니까 해양 쓰레기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항,포구 뿐 아니라 도서지역과 절벽, 동굴 등 사각지대에도 활용범위를 넓힐 계획입니다.
TJB장석영입니다.
영상취재 김경한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