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제주 속 세계자연유산, 그 의미와 화산섬 제주의 탄생의 비밀을 찾아 떠나는 여정, 2022 세계유산축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출발선에 섰습니다. 초점을 맞춘건 '불의 숨길 아트프로젝트'입니다. 주제는 ‘물과 불:접경 공간’입니다. 더이상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절묘하고 시의적절합니다. 경계와 맞닿거나 경계 그 자체라는데 모든 예외와 의외성이 수렴됩니다. 다중적인 의미로 사물과 질료에 다가서며, 어떤 변화 가능성이든 넉넉히 수용하는데서 다양한 논의의 장을 제공합니다. 로컬에 기반을 둔 내적 조건, 혹은 더 넓은 맥락은 1만 년의 긴 잠을 자던 거친 불의 시간들을 품어 경계 없는 상상력으로 펼쳐냈습니다. <br><span><br></span>#{MEDIA_1}<br><b>거문오름용암동굴계 4개 길 등 '미술' 입혀</b><br><br>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제주의 인류학적 가치를, 예술을 매개로 전달하고 자연과 예술을 연계한 공공미술프로젝트 '불의 숨길 아트프로젝트'가 막을 올립니다.<br><br>10월 1일부터 16일까지 성산일출봉과 거문오름용암동굴계 26km 4개 길(1.2.3.4 구간)을 따라 펼쳐지는 전시입니다.<br><br>전시는 '물과 불:접경 공간'이란 주제 아래 화산섬 제주의 창조적인 생성과 사회문화적 변화 과정을 표현합니다. ‘물’과 ‘불’의 상징성을 통해 자연과 문명, 정형과 비정형 등 물질적, 인식적으로 대비되는 것들이 접촉해 빚어내는 작용, 과정에 주목했습니다.<br><br>특히 자연과 예술 간의 경계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 그리고 '이주'로 사회문화적 변화를 겪고 있는 일종의 ‘접경 공간’으로서 제주가 갖는 장소성에 함축적 의미를 담아내는데 집중했습니다.<br><span><br></span>#{MEDIA_2}<br><b>16개 팀 참여, 조각.페인팅.사진 등 전시</b><br><br>모두 18명, 16개 팀이 참여했습니다. 국내작가 16명과 해외작가(캐나다, 일본) 2명입니다.<br><br>조각, 설치만 아니라 서예, 페인팅, 사진, 영상, 사운드 등 다양한 장르 작품을 통해 자연 속에서 실험의 계기를 마련하고 기술적인 매체들을 자연과 대비해 인공과 자연의 경계에 스스로 주제가 부각되는 효과를 더했습니다.<br><span><br></span>#{MEDIA_3}<br><b>1, 2, 3, 4구간마다 작가별 작품 전시</b><br><br>불의 숨길 1구간 '시원의 길'과 2구간 '용암의 길'에선 필립 알라르, 김도희, 양상철, 허정·조은비, 타케코시 코헤이 작가의 작품을 만날 수 있습니다.<br><br>거문오름용암동굴계의 모태인 거문오름 주변과 용암이 달리던 길을 따라가면 물과 불의 관계, 제주의 탄생과 생명력, 숲의 신비 등을 다룬 작업들이 기다립니다.<br><br>3구간 '동굴의 길'에는 김현성, 노해율, 허태원, 양동규, 박형근·신지선, 배효정 작가가 자연과 인간, 예술 사이의 긴장과 공존, 4.3의 역사부터 이주까지 사회문화적 쟁점으로서 '접경'의 의미를 표현했습니다. <br><br>불의 숨길 4구간 '돌과 새 생명의 길'에는 용암이 지나간 길 위에 생성된 문명과 개발, 자연과 인간, 예술의 유기적인 공존과 순환 과정 그리고 '길 위에 선 인간'을 중심으로 한 이다슬, 이한나, 김창환 작가의 작업을 전시합니다.<br><br>성산일출봉에는 한라산과 인간의 꿈을 다룬 고봉수 작가와 화산섬 제주, 물과 불의 숨결을 형상화한 박봉기 작가의 작업을 선보입니다.<br><span><br></span>#{MEDIA_4}<br><b>축제기간 공개..4구간 참여 관람 가능</b><br><br>전시 작품들은 10월 1일부터 16일까지 세계유산축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본 행사 때 공개됩니다.<span><br></span><br>1~3구간은 정원 모집이 마무리돼 인솔자와 함께 탐방을 진행할 예정입니다.<span><br></span><br>4구간은 축제기간에 별도 신청 없이 참여 관람할 수 있습니다.<br><br>다음은 참여 작가 ▲고봉수, 김도희, 김창환, 김현성, 노해율, 배효정, 양동규, 양상철, 이다슬, 이한나, 박봉기, 박형근·신지선, 허정·조은비, 허태원, 필립 알라르(Philippe Allard, 캐나다), 타케코시 코헤이(Takekoshi Kohei, 일본) <br><br>불의 숨길 아트프로젝트 전시팀 ▲운영위원장 유창훈 ▲전시예술감독 강지선 ▲현장감독 서성봉 ▲큐레이터 송준영 ▲코디네이터 박재윤<span><br></span><span><br></span>#{MEDIA_5}<span><br></span>(영상 2022 세계유산축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운영사무국)<br>
JIBS 제주방송 김지훈 (
[email protected]) 기자
<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