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나도 모르게 구부정' 척추 미끄럼증
[앵커]
척추전방전위증, 일명 척추 미끄럼증이라는 병이 있습니다.
나도 모르게 자세가 자꾸만 구부정해진다면 진단이 필요한데요.
증상과 치료법, 건강365에서 짚어봅니다.
[리포트]
허리가 아플 때 우리는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합니다.
그런데 3대 척추 질환이라고 해서, 한 가지 더 챙겨볼 게 있는데요.
척추전방전위증입니다.
척추 미끄럼증이라고도 하는데요.
위에 있는 척추가 아래 척추보다 앞으로 밀려 나온 겁니다.
[출연자]
(이석재 척시원병원 병원장 / 부산대 의대, 인제대 외래조교수 )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가 가지런하지 않고 하나가 앞으로 미끄러져 나오는 병입니다.
척추 뒤로 지나가는 신경이 압박받아 보행 시 엉덩이와 다리에 통증이 생깁니다.
환자는 통증을 피하려고 자세가 구부정하게 되고 절뚝거리기도 하며 심하면 허리 뒤에 툭 튀어나온 뼈가 만져지기도 합니다. }
[리포트]
진단은 엑스레이 검사로 쉽게 내릴 수 있습니다.
척추가 얼마나 불안한지 진단해서 이를 토대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데요.
중년 여성 환자가 많아서 폐경기 전후 관심이 필요합니다.
[출연자]
{수퍼: 이 병은 천천히 진행하므로 뼈의 어긋난 정도가 적은 초기라면 약물과 물리치료만으로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바른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도수치료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장기간 방치되면서 밀려나온 정도가 심해지면 척추 신경을 눌러 하지 마비 등 신경 장애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병원을 빨리 찾아 적극적인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
[리포트]
이 병은 주로 퇴행성 변화가 많지만 척추 주변 근력이 떨어졌다면 젊은 층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치료와 함께 꾸준한 운동으로 척추 안정성을 지켜야겠죠.
[출연자]
( 이석재 / 척시원병원 병원장 )
{ 척추전방전위증 환자는 구부정한 자세를 본인도 모르게 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바른 자세 유지에 필요한 요추(허리등뼈) 근육이 이미 약화되어있기 때문인데요.
바르지 못하고 구부정한 자세에서 이 병은 진행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바른 자세로 평지를 걷는 운동이나 수영 같은 심부 근육을 바로 잡아주는 운동이 도움이 되겠고 일상생활에서 쪼그려앉는 자세나 장시간 같은 자세 유지하기 등 허리에 무리가 되는 습관은 없는지 살펴 교정해야 겠습니다. }
[리포트]
허리를 많이 쓰는 가사일 후에는 반드시 휴식이 필요합니다.
별다른 통증이 없더라도 틈틈이 누워서 허리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