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knn

[건강365]-작은 뇌졸중 '일과성 뇌허혈증'

기사입력
2021-08-04 오전 07:25
최종수정
2021-08-04 오전 09:42
조회수
80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건강365]-작은 뇌졸중 '일과성 뇌허혈증'
[앵커]
일과성 뇌허혈증! 쉽게 말하면 뇌졸중 증상이 가볍게 왔다가 사라지는 겁니다.

증상은 없어져도 뇌졸중의 전조증상일 수 있어서 대비가 필요합니다.

건강365입니다.

[리포트]
갑자기 심하게 어지럽거나 팔*다리 힘이 약해집니다.

그런데 이런 증상이 몇 분, 길어도 하루 안에 사라지곤 하는데요.

일과성 뇌허혈증!

피 덩어리가 뇌혈관을 막기 전에 저절로 녹아서 일시적인 증상이 생기는 겁니다.

[출연자]
(김동한 건강만세365병원 척추센터 과장 /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졸업, 서울아산병원 신경외과 수료 )

{뇌혈관을 막는 혈전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가 심장질환입니다.

심장 판막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혈전이 생성되고 그 혈전이 심장에 펌프질을 할 때 날아가게 되면서 경동맥이나 내뇌 혈관 쪽으로 가게되면 작은 혈관을 막게 되고 그런 경우에 뇌경색 또는 뇌허혈증 증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진단받으신 분들은 꼭 심장 검사를 같이 받으시는 게 좋습니다. }

[리포트]
진단을 위해선 뇌와 혈관 검사를 위한 CT와 MRI가 필요합니다.

또 하나, 심장 질환을 살피는 심전도와 심장 초음파 검사도 하는데요.

발생 원인과 연관이 있습니다.

[출연자]
{수퍼: 경동맥이 좁아져있는 분들은 뇌경색이나 뇌허혈증으로 발전하실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협착 정도가 심하신 분들 같은 경우는 스텐트 삽입 시술로 미리 예방을 할 수 있고요.

협착이 심하지 않은 분들은 약물치료를 하면서 지켜보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경동맥 초음파 검사 등으로 협착 정도를 미리 파악해 놓으시는 게 중요하겠습니다. }

[리포트]
진단 후에는 피 덩어리가 생기는 걸 막는 약제를 투여합니다.

아스피린이나 와파린이 뇌졸중의 장기적 예방에 도움을 줘서 경우에 따라 처방하기도 하는데요.

고혈압과 당뇨, 고지혈증 같은 위험인자도 조절해야 합니다.

[출연자]
(김동한 / 건강만세365병원 척추센터 과장 )

{경동맥 협착이 심하신 분들은 뇌경색이나 뇌허혈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평소 주기적인 검사가 중요하고요.

협착이 심하신 분들은 스텐트 시술 같은 걸로 미리 예방할 수 있고 정도가 심하지 않은 분들은 약물치료를 하면서 경과를 지켜보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꼭 주기적으로 협착 정도를 파악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리포트]
예방하려면 고혈압과 당뇨, 고지혈증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흡연과 비만도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방심해선 안 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