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교 교감이 교사들에게
상습적으로 폭언과 부당한 지시를
해왔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갑질 피해를 호소하는 교사가 10명이 넘고,
아예 교직을 그만둔 교사도 있습니다.
이정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올해로 8년 차 특수학교 교사로
재직 중인 하영미 씨.
하 교사는 2년 전 부임한 교감 탓에
악몽 같은 시간을 보냈다고 말합니다.
교감이 일과 중 반말은 기본이고,
인격 모독성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는
겁니다.
견디다 못한 하 교사는
1년간 휴직을 한 데 이어
지금은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하영미/00특수학교 교사:
특수 교사보다는 부녀회장 같은 스타일이
더 어울린다. (교사로서) 기본이 되어
있지 않다고 다른 교사들이 보는
앞에서 저의 자존심을 뭉개는
그런 행동과 말을...]
지난 6월
울릉도 현장체험학습을 앞두고는
체력 훈련이 필요하다며
두 달 동안, 1교시 수업시간에
학생 50여 명과 교사들에게
운동장 달리기를 시켰습니다.
교사들은 학생과 교사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는 독단적인 지시로
교육활동이 침해됐다고 주장합니다.
[ 00특수학교 교사 (음성 변조) :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수학여행을
준비하기 위해서 1교시 전체 수업을
파탄 내는 방식으로 체육 활동을
강요한 그런 관리자를 만나본 적이
없습니다.]
해당 교감에게 갑질과 폭언 피해를
당했다는 교사는 모두 11명,
정신과 치료를 받거나 심지어
교직을 내려놓은 교사까지 있습니다.
교원단체는 2년이 지나도록
이 사실을 알지 못한 전북교육청에도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수경/전교조 전북지부 정책실장:
교사들의 이런 절박한 호소를 외면하고
방치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을 하고요. 결국엔 교육청도
공범이다.]
[CG] 해당 교감은 입장문을 통해
정상적인 학사 운영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들이었다며,
담당 교사들이 심적으로 부담을
느꼈다면 죄송하다고 밝혔습니다. //
교원단체는 피해 교사들의 진술서를 받아
전북교육청에 제출하고,
특정 감사를 요구했습니다.
JTV NEWS 이정민입니다.
이정민 기자
[email protected](JTV 전주방송)
< copyright © j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