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이 바다 위에서 전투기를 출격시키는 경항공모함 대신 전투용 무인항공기(UAV)를 띄울 수 있는 다목적 지휘함 도입을 추진합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나타난 무인기의 군사적 효용성과 미래 전장 환경 등을 반영, 함정에 수직이착륙 전투기 F-35B 대신 전투·자폭·감시정찰용 무인기 수십 대를 탑재하기로 했습니다.
11일 군에 따르면 해군은 최근 경항모 사업을 '다목적 유무인전력지휘함' 사업으로 변경해 추진한다는 계획을 국회 국방위원회에 보고했습니다.
'다목적 대형수송함-Ⅱ'라는 이름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시작된 경항모 사업은 2033년까지 전장 260m, 폭 40m 규모의 3만t급 경항공모함을 건조한다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 들어 비용 대비 필요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돼 사실상 사업이 중단됐습니다.
당초 경항모에 탑재할 함재기로는 갑판에서 수직이착륙할 수 있는 스텔스 전투기 F-35B 20대가 거론돼 왔습니다.
해군이 새로 제시한 다목적 유무인전력지휘함 사업에선 함정 크기는 기존 경함모 계획과 비슷하지만, 탑재 항공기가 유인기에서 무인기 중심으로 바뀌었습니다.
전투용 무인기와 감시정찰공격용 무인기, 자폭용 무인기 등 수십 대의 무인기를 탑재한다는 것입니다.
상륙기동헬기와 공격헬기 등 일부 유인기는 기존 경항모 계획과 마찬가지로 탑재됩니다.
해군은 사업 계획 변경 이유로 "미래 해양전 양상과 인공지능·무인기술 발전 등을 고려했다"며 "첨단 무기체계를 반영해 유무인 복합전투체계를 조기에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업 비용은 다소 줄어듭니다.
기존 경항모 사업 비용은 함정 건조 비용 약 2조5천억원과 대당 1천500억∼2천억원 수준인 F-35B 20대를 포함해 약 7조원 규모로 예상됐는데, 새 함정은 F-35B를 무인기로 대체해 2조원가량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군은 밝혔습니다.
신형 함정은 기동부대 지휘함으로서 북한 위협에 대응해 핵심표적 타격, 강습상륙작전 등 임무를 수행하고, 해상교통로 보호와 재해·재난 대응 역할을 맡는다는 것이 해군의 구상입니다.
해군은 지난달 HD현대중공업에 다목적 유무인전력지휘함 개념설계 연구용역을 맡겼고, 이달 말 열리는 합동참모회의에 사업 계획 변경을 보고할 계획입니다.
다만 이미 소요 결정이 이뤄진 경항모 사업 계획을 변경하려면 합동참모회의에서 소요 조정 의결을 해야 하는데, 이는 새 정부 출범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내에 최종 의사결정이 이뤄지면 함정 설계를 거쳐 2030년대 중반께 신형 함정이 건조될 수 있다고 군은 예상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