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jtv

산불 스프링클러 14대.... 전국 최저 수준

기사입력
2025-04-08 오후 9:30
최종수정
2025-04-08 오후 9:30
조회수
29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미리 물을 뿌려 놓거나 불이 났을 때
초동 진화에 사용되는 산불 스프링클러가
일정한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내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는
10여 대밖에 되지 않습니다.

충남이나 전남, 경북 등
일반 도 지역 가운데 가장
적은 수준인데요 산불 예방을 위해서는
추가 설치가 시급합니다.

김학준 기자입니다.
정읍시 북면에 있는 한 사찰입니다.

주변이 숲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사찰 뒤편에는
이른바 산불 스프링클러가 설치돼있습니다.

숲에 수시로 물을 뿌려놓아서 산불을
예방하고, 화재가 났을 때 물을 뿜어
초기 진압을 하는데 사용됩니다.

[ 종진 스님 / 보림사 주지 :
30초면 충분히 대처할 수 있으니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그게 무엇보다도 큰 장점이죠. ]

원격 제어 방식으로
40톤 용량의 저장시설에 담긴 물이
최대 40m 반경에 뿌려집니다.

효과를 인정받아 전국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 김동현 / 전주대 소방안전공학과 교수 :
미리 물을 뿌려놓으면 물의 잔열 효과로
인해서 화재 확산이 이뤄지지 않는 거고
예방 시설로서 해놓으면 불이 나더라도
안심할 수 있다.]

도내에서도 지난 2012년에 설치되기
시작했지만 14대 밖에 되지 않고
올해 1대가 추가로 설치될 뿐입니다.

(CG) 경남의 경우 26대가 설치돼있고
충남, 충북, 전남, 경북과 비교해도
가장 적습니다. (CG)

[전북자치도 관계자 (음성 변조) :
산림청에서 기재부하고 또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저희가 신청한다고 해서
다 내려오는 건 아니고요. ]

산불 스프링클러 한대의 가격은
1억 5천만 원에서 2억 원.

순식간에 엄청난 피해를 가져오는
산불을 막기 위해서는 산불 예방
시설에 대한 선제적이고 집중적인
예산 투입이 시급합니다.
JTV 뉴스 김학준입니다.(JTV 전주방송)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