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얼마전 서울에서는 초대형 땅꺼짐이 발생해 지나가던 오토바이 운전자가 숨졌습니다.
부산에서도 사상하단선 공사현장 등 땅꺼짐이 잦았는데, 통계를 봤더니 봄부터 여름까지가 특히 위험합니다.
보도에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도로가 갑자기 꺼지고 지나가던 오토바이가 그 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지하철 연장 공사 지점으로, 30대 운전자는 결국 숨졌습니다.
"부산경남도 이런 땅꺼짐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실제로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 현장에서 일어난 땅꺼짐만 모두 12건에 달합니다."
{김부권/ 부산 사상구/"불안하죠. 차 몰고 갈때. 지하철 공사 때문에 그런 것도 있죠."}
"땅꺼짐은 추운 겨울철엔 비교적 적다가 날씨가 풀리는 지금부터 급격히 늘어납니다.
특히 집중호우 등 비 소식이 잦은 8월 정점을 찍습니다."
매립지가 많고, 여러 단층이 지나가는 부산경남은 더 조심해야 합니다.
{김태형/ 국립한국해양대 토목학과 교수/ "(부산경남은) 단층대가 통과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암반 특성도 안 좋고, 연안에 있고 낙동강 조간대 때문에 층적층이 형성돼 있어요. 굴착이라든지 터널이라든지 이런 게 이루어지면 지반침하에 취약할 수밖에 없죠."}
"땅꺼짐은 주로 땅밑에 묻혀있는 상하수도관 등이 손상되면서 일어납니다.
법에 따라 500mm 이상 관은 5년마다 확인하는데, 그 길이만 4만 킬로미터가 넘습니다."
관련 예산이나 직원도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이호/한국지하안전협회장/ "매설물도 시간이 지나면 노후화가 되지 않겠습니까. 교체를 적절하게 해야 하는데 이걸 다 할 수 없잖아요. 정부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지 않나..." }
대형 땅꺼짐 사고는 부산경남으로서도 결코 남의 일이 될 수 없는 상황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