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g1

"UHD 정책, 전면 재검토 시급"

기사입력
2025-02-24 오후 9:04
최종수정
2025-02-24 오후 9:04
조회수
11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HD보다 4배 선명한 UHD 방송은 몇 해 전만 해도 시청자나 방송 산업 전반에 획기적인 변화를 불러올 신기술로 주목받았습니다.

하지만 수년째 기반도 못 갖춘 채 정책은 우왕좌왕하고 있고, 정작 시청자는 관심도 없습니다.

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 보자는 논의가 국회에서 시작됐습니다.
민방공동취재단 김도환 기자입니다.


[리포터]
지상파 UHD는 국가적인 프로젝트로 시작했습니다.

공공서비스인 지상파 방송의 수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부가가치도 창출하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지금껏 UHD를 직접 수신하는 인구는 1%도 채 되지 않습니다.

민간 주도로 6조 7천억 원을 투자해야 한다는 계획이 무리였고,

무엇보다 기존 HD와 큰 차이도 없어서 시청자가 외면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심영섭 교수 / 경희사이버대 미디어영상홍보학과
"기존 화질과 큰 차이가 없어요. 기본적으로. 본인이 가지고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바꿔야 하는데 그걸 바꿔서 얻을 수 있는 효용이 적은 거죠. 그러면 굳이 바꿀 필요가 없는 거죠."

UHD 정책 개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국회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UHD를 삼키지도, 뱉지도 못할 '계륵'에 빗댔습니다.

도입 당시와 비교하면 모바일과 OTT 등 방송 환경은 딴 판이 돼 확장 가능성이 적습니다.

정부 지원 없이 투자 강제나 의무 편성 비율 같은 규제만 있어서 경영 악화를 겪고 있는 지상파 방송에 족쇄가 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훈기 의원 /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무리하게 추진한다는 건 문제가 있고 그래서 전면적인 재검토를 통해서 UHD 정책을 계속 끌고 갈 건지 아니면 폐지할 건지, 아니면 자율에 맡길 건지 이런 근본적인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참석자들은 정부 정책 방향 재수립을 더 늦출수 없다는 데 동의하면서,

특히 지역 방송사가 UHD를 포함한 미디어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민방공동취재단 김도환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