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탄핵안이 가결되면서 부산 경남 현안들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립니다.
대통령이 국정과제로 챙겼던 사안들의 경우는 동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탄핵안 가결로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된데 이어 PK 현안에 적극적이었던 여당 당대표까지 물러났습니다.
지역 현안들도 영향권 안에 들 수밖에 없습니다.
경남보다는 부산에 경고등이 켜졌는데, 예를 들어 대통령이 직접 챙겼던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과 산업은행 이전 같은 사안들입니다.
"이같은 현안은 윤 대통령이 직접 챙겼던 사안인 만큼 이번 탄핵안 가결로 동력을 잃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글로벌특별법은 부처 협의를 마친 만큼 국회 일정이 나오는대로 내년초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준승/부산시 행정부시장/"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이 중요한 부분을 여*야 의원들에게 한 번 더 설명하고 공감을 얻어내 빠른시일내 통과될 수 있도록..."}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거대 야당인 민주당의 입장 변화가 필요한 사안입니다.
민주당은 산업은행 본사 이전이 아닌 부울경 금융산업 특별법을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재성/민주당 부산시당 위원장/"부산을 포함한 부산 울산 경남의 금융을 발전시키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특별법을 준비하고 있고요. "}
부산시와 부산 민주당은 이번주 회동을 할 예정으로 의견 조율이 있을지가 주목됩니다.
경남에서는 지난 5월 발의된 우주항공복합도시 특별법이 국토위 법안 소위를 앞둔 상황에서 탄핵 국면을 맞았습니다.
또 지난 6월 여야 공동발의된 남해안권발전특별법도 계엄 여파로 논의가 연기되면서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김명주/경남도 경제부지사/"기존의 (국민의힘) 정책 협의회도 있고 개별적으로 저희가 네트워킹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 소통해 관련 법이 통과 되고 (국비 예산이 확보될 수 있도록 노력...)"}
탄핵안 가결 이후 정치지형의 변동 속에서도 지역 민생과 균형발전 현안 추진은 흔들림없어야한다는 지역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