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주행거리를 조작해 중고차를 판매하는 업자가 있습니다.
적게는 몇백km에서 많게는 2만km까지 주행거리를 줄여서 팔았다는데, 지금까지 확인된 피해자만 1백 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작은 이득에 눈이 멀어 벌인 일인데, 중고차 시장에 대한 불신의 최종 피해자는 결국 또 다른 판매업자라는 점을 명심해야겠습니다.
박언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충북의 한 중고차 매매단지입니다.
이곳에서 20년 정도 중고차를 판매했던 상사 대표 A 씨는 최근 주행거리를 조작한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A 씨는 중고차를 경매장 등에서 매입한 이후 조작 기술자 B 씨에게 의뢰해 많게는 2만km 정도까지 주행거리를 줄였습니다.
조작 대가는 차량 한 대당 5~20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전자식 계기판은 조작이 불가능할 것이란 세간의 믿음을 역이용한 것입니다.
A 씨의 범행 기간은 5년 정도로 지금까지 파악된 피해자만 1백여 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언
'경찰은 업체의 과거 거래 내역을 확보해 일일이 살펴보면서, 피해자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범행에 쓰인 기계와 증거 영상 등 결정적 증거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충북경찰은 수사 중인 사안이라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주기 어렵다고 밝혔지만, 범행에 가담한 기술자 B 씨가 전국 곳곳의 매매단지를 돌며 주행거리를 건드렸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JB 박언입니다.
< copyright © c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