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운동 후 무릎통증, 반월상 연골 파열?
[앵커]
무리한 등산이나 축구 같은 격한 운동은 무릎 부담을 높입니다.
물렁뼈가 찢어질 수 있는데, 문제는 단순한 타박상으로 오해하기 쉽다는 겁니다. 관련 내용, 건강365에서 알아봅니다.
[리포터]
따뜻한 계절, 모처럼 야외운동에 나선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운동에 무릎이 받는 스트레스는 커지기 마련이죠.
특히 이 곳을 주목해야 하는데요.
무릎 부담을 줄여주는 물렁뼈, 반월상 연골판입니다.
[출연자]
(손명환 명은병원 병원장 / 인제대학교 외래교수, 대한 슬관절학회 정회원 )
일반적으로 젊은 환자인 경우에는 운동을 하다가 무릎이 뒤틀리거나 직접적인 타박에 의해서 많이 발생하게 되고 고령 환자분들의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무릎 연골을 사용해 관절을 지탱하는 근육 등이 약해지게 되어서 피로가 누적되게 되어있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앉았다 일어날 때 무릎이 살짝 비틀리기만 해도 파열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리포터]
반월상 연골판을 다치면 일상생활에서 가벼운 동작도 불편해집니다.
문제는 운동 뒤 단순한 타박상이나 중년 이후에서는 관절염으로 오해하기 쉽다는 겁니다.
[출연자]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발생하면 무릎이 전체적으로 아픈 퇴행성 관절염과는 달리 무릎 안쪽, 바깥쪽에 통증이 심하다는 것이 퇴행성 관절염과의 가장 큰 차이가 되겠습니다.
타박상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점차 호전이 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있는 경우 시간이 갈수록 더 통증이 심해지고 부종이 더 심해서 병원에 찾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포터]
한 번 찢어진 연골판은 저절로 붙지 않습니다.
방치할수록 퇴행성관절염만 앞당기는데요.
치료는 연골판이 얼마나 파열됐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출연자]
(손명환 / 명은병원 병원장 )
파열 정도가 심하지 않은 초기에는 통증과 부종을 감소시키는 것이 우선이고 안정치료를 하는 것도 중요하겠고 특히 약물과 보존적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그렇지만 반월상 연골판이 심하게 파열됐을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관절내시경을 통해서 손상된 반월상 연골판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거나 혹은 봉합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겠습니다.
[리포터]
등산은 심폐 기능과 근력을 키우는 좋은 운동입니다.
반면 무릎을 생각한다면 조심해야 하는데요.
산을 내려올 때는 등산스틱을 양쪽 모두 쓰고, 마무리 스트레칭으로 긴장감을 풀어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