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연심 45년차, 박태선 22년차)
22년째 하고 있는 박태선, 45년 정도 해녀질 하고 있는 최연심이에요.
#2. (해녀를 시작한 계기는?)
친정 엄마가 제주도 해녀예요. 유전인가 몰라도 작업하는 거 참 좋아했어요, 물질을..
첨에는 반대했는데 차츰차츰 나아지다 보니까 그렇게 반대하는 편은 아니었어요.
#3. (바다가 좋나요?)
난 바다 속이 아름다워요. 물고기 자유롭게 헤엄하지 해초류 흔들거리지 바다 물이 맑았을때는 내 마음도 맑아지고..
#4. (해산물은 많이 잡히나요?)
옛날에는 작업하면 굉장히 해삼이 많이 났어요. 그런데 지금은 전혀 없어요. 오늘 봤죠? 해삼 2마리 잡았잖아요. 6명이서 2마리 잡았어요. 오늘 가면 이 장소에는 어느정도 잡는다 예감을 해요. 그런데 오늘은 너무 없네요. 제 생각으로는 기후변화로 고갈된 것도 같고..
#5.(건강은 괜찮나요?)
잠수질하면서 허리를 많이 다쳐서 병원을 많이 다녀요. 한 달에 2번은 가죠. 잠수병도 있고 그러잖아요. 안 좋구나 느끼면서도 어떻게 해요, 생계를 유지하려고 하니까..
#6.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제가 우리 아들을 낳고 한 이레(일주일)도 안 넘어서 물질을 갔거든요. 지금 생각하면 내가 그때 그렇게 살았는데 지금도 이렇게 사는구나, 생활에 여유가 없으니까..
(제주는) 유네스코 기록이 돼서 병원 치료도 지원하구요, 여러 지원이 많아요. 여긴 그런 혜택 전혀 없어요.
#7. (해녀라는 자부심?)
남들은 저를 해녀로 천하게 보지만은 자식들은 안 그래요. 자랑스러워해요. 내 개인으로 나잠(산소호흡장치 없이 잠수)을 하고 있지만 전통이잖아요. 누가 아무나 하는 것도 아니고 해녀를 쭉 이어가고 있는데 우리도 대우를 받았으면 좋겠어요.
#8. (해녀가 되고 싶은 사람들에게..)
솔직히 한다는 사람 있으면 하지마라 해요. 솔직히.. 대우가 좋고 하면은 하라고 하겠는데 고생은 고생대로 하는데 대우를 안 해줘요. 그러니까 될 수 있는 한 배우지 마라, 솔직히 우리 선에서 그만두게 할라고 해요
#9. (나에게 바다란?)
나의 삶의 터전이요, 한마디로.. 살아가는데 큰 힘이 되는 바다죠.
저는 바다가 내 삶이 전부예요.
------------------------------------------
[에필로그]
전남 해녀(女)·해남(男) 488명.. 상당수 활동 안 해
의료비·후계자 양성 지원 조례 통과 '주목'
------------------------------------------
전남의 해녀들은 제주와 달리 작업하는 해녀들끼리 서열을 정하지 않는다거나 공동분배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전통 문화를 이어가는 직업인으로서의 존중을 받지 못하는 점이 가장 아쉽다고 말합니다.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