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결리는 등, 어깨뼈 '견갑골'에 주목!
{앵커:
등이 결리고 콕콕 찌르는 것처럼 아플 때가 있습니다.
'견갑골'이라고 하는 어깨뼈가 원인일 수 있는데요. 건강365에서 자세히 알아봅니다.}
{리포트}
운동을 열심히, 꾸준히 하는데도 갑자기 등이 쑤실 때가 있습니다.
단순한 근육통일까요?
견갑골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렇게 등 위쪽에 있는 한 쌍의 뼈인데요.
여기가 비정상적으로 튀어나오거나 비대칭적으로 움직이면서 통증을 일으킵니다.
================================
{홍진헌 휴병원 정형외과 원장 / 전 가천대학교 길병원 정형외과 외래교수,
전 인천유나이티드 프로축구팀 팀닥터 )
{[견갑골] 주위가 바늘로 [콕콕 찌르거나 뻐근한] 양상의 [통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먼저 환자의 [상의를 탈의한] 상태에서 [팔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환측(아픈 쪽)
[견갑골]이 [비정상적인 모양]이나 [움직임]을 보였을 때 진단할 수 있습니다. }
================================
처음에는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지속되면서 통증이 생기고, 어깨 관절 움직임에 제한이 올 수도 있습니다.
MRI를 통해서 어깨 후방부 결절종에 의한 '상견갑 신경포착 증후군'과 감별이 필요합니다.
================================
{[외상] 등에 의한 [신경 손상], 많이 사용하는 [상지]에 의한 [자세 불균형.]
그리고 [잘못된 자세]에서 비롯된 [근육 운동] 등이 원인이 되어
[견갑골] 주위 [근육의 균형]을 [무너뜨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지속적인 [통증]과 함께 [어깨 운동 제한]과 같은 [일상생활의 장애]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
================================
치료를 위해선 근육의 균형을 바로 맞춰야 합니다.
대부분은 운동치료로 교정해주면 낫는데요.
대신 무작정 혼자 운동을 시작하는 것보다 전문 치료사의 도움을 받는 게 좋습니다.
================================
{ 홍진헌 / 휴병원 정형외과 원장 )
{[물리치료, 운동치료]와 같은 [교정치료]를 통해 [대부분 호전]이 가능합니다.
먼저 [도수치료]를 통해 어깨 관절 [가동 범위]와 [견갑골]의 [움직임]을 [정상화]하고
[기구]를 이용한 견갑골 주위 [근육 강화 운동].
그외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치료]를 통해 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
건강을 위한 운동이지만 자세의 불균형, 잘못된 근육 운동은 견갑골 주위 통증과
일상생활 장애까지 불러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하고 바른 자세를 갖춰서 운동하시길 추천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