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나이 들수록 휘는 'O자형 다리' 치료는?
{앵커:
좌식생활을 오래 하면 무릎 안쪽에 체중이 쏠리면서 관절염을 일으킵니다.
동시에 다리는 더 많이 휘는데요. 인공관절 말고는 답이 없을까요?
건강365에서 해답을 알려드립니다. }
{리포트}
발목을 붙이고 섰을 때 무릎 사이에 큰 공간이 생깁니다.
오다리라고 하죠. 폐경기 이후 여성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무릎 안쪽에 체중이 쏠리면서 심한 관절염으로 진행됩니다.
================================
{손명환 명은병원 병원장 / 인제대학교 외래교수, 대한 슬관절학회 정회원 )
{다리가 [휘어지게] 되면 환자분들이 걷거나 생활하는 데 [체중]이 [무릎 안쪽 면]에 많이
치우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내측 관절면]에 있는 [물렁뼈 파열]이 진행됨으로 인해서 관절 [연골이 닳게] 되죠.
그렇게 되면 [퇴행성관절염]이 진행하게 되는데 [관절 연골]은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관절면]이 [좁아지는] 퇴행성관절염이 더욱 [빨리 진행]하게 되고
[다리]도 더 많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
================================
걷기 힘들 정도의 통증이 생기면 수술을 생각해 봅니다.
그런데 인공관절을 선택하기 전에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만약 무릎 안쪽만 닳았다면 반대쪽의 건강한 연골은 살릴 수 있습니다.
================================
{근위경골절골술이란 수술은 [무릎 아래쪽]에 있는 [정강이뼈]를 골절 시켜서
[체중]이 [무릎 안쪽]에 떨어지는 것을 [바깥쪽]으로 [옮겨주는] 수술 방법입니다.
[내측]에 있는 [관절염] 진행을 막고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인공관절]수술을
[천천히] 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수술 방법입니다. }
================================
이 수술이 인공관절을 대체하는 건 아닙니다.
대신 5,60대라면 인공관절로 교체하기 전 10년 정도는 내 관절을 편하게 쓸 수 있는 겁니다.
================================
{손명환 / 정형외과 전문의 }
{근위경골절골술 후 [골 유합(뼈가 붙을)]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4주] 정도는
[목발 보행]이 필요하고요.
[유지 기간]은 환자분들의 [나이]라든지 [체중], 수술 시 [교정 각도]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겠지만 보통 [10~15년] 정도의 기간은 [충분히] 쓸 수 있을 것 같고요.
혹시 환자분께서 [안정된 생활]을 하시게 되면 [평생 유지]할 수 있는 수술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
================================
무릎관절염 예방, 세 가지부터 실천해 보시죠.
살빼기와 의자 사용하기. 걷기운동으로 허벅지 힘 기르기입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