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매년 남해 앞바다에 찾아오는 해파리가 올해는 좀 더 빨리, 많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본격적인 여름이 되면 크기까지 커질 것으로 보여 어민들의 근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안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른 아침 그물걷이가 한창입니다.
하지만 멸치로 가득해야할 시기에 아이손바닥만한 해파리만 가득합니다.
"보시는 것이 요즘 경남 남해 앞바다에 출현한 보름달물해파리입니다. 독성은 약하지만 그 수가 엄청나, 멸치가 있어야할 그물에는 해파리만 가득합니다."
30년 넘게 조업해온 어민에게도 이시기 이정도 해파리는 처음입니다.
{강은수/해파리 피해 어민/"제가 바다에서 생활한지 30년넘게 됐지만 이런 현상은 처음입니다. 뭐라고 말할 수가 없습니다."}
그물 하나당 해파리만 10톤, 하루 내내 강씨가 정치망 4개로 잡은건 버려야할 해파리 40톤뿐입니다.
{강은수/해파리 피해 어민/"겪어보지도 못한 일이니까. 어디서 뭐 어떻게 대처를 해야될 지 방법도 잘 없어요 솔직히. (어획량이) 예년에 비해서 10분의 1도 안되지...}
지난 4일 이미 경남 전해역에 해파리예비주의보가 내렸습니다.
고성만과 자란만은 예년보다 9배이상 개체수가 늘었습니다.
7월이 되야 오던 독성 노무라입깃해파리까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김경연/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연구사/"(보름달물해파리가) 마릿수는 일정한데 커지다 보니 무게는 많이 나가겠죠. (노무라입깃해파리도) 5월달 조사했을 때 제주도랑 전남, 경남, 그 다음에 부산 이 쪽에 일부 개체가 보이는 걸로...}
수협은 해파리 구제부터 서두르고 있습니다.
{구성회/고성군수협 상무/"해파리가 너무 많이 출현하다보니까 거기에 중점을 둬서 빨리 구제사업에 집중하는 것으로 그렇게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 어민들은 조업을 하면 할수록 손해만 늘고 있습니다.
{조광부/해파리 피해 어민/"(해파리 때문에) 전부 다 인건비 대출을 해서 지금 주고 있는 실정입니다. (해파리) 수매보다 앞으로 정부에서 보상을 우리는 좀 바라는게...}
때이른 해파리의 습격에 본격적인 폭염까지 다가오면서 남해안 어민들의 한숨은 커지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