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설공단은 청계천에서 2급수 이상의 깨끗한 물에서만 서식하는 한국 고유의 민물고기 '쉬리'가 발견됐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청계천은 청계광장에서 중랑천 합류부까지 8.12㎞에 이르는 도시 하천으로, 지난 2003∼2005년 대대적인 복원 공사를 거쳐 조성됐습니다.
쉬리는 수질에 민감한 어종으로, 하천 생태계가 얼마나 건강한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꼽힙니다.
공단은 올해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국립중앙과학관과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양 기관은 청계천 생물 다양성 보전과 학술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쉬리도 서울시설공단과 국립중앙과학관이 진행한 조사에서 찾아냈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계천 상류에서는 피라미·참갈겨니·돌고기·밀어·잉어·붕어·버들치·참붕어 등이, 중류에서는 쉬리를 포함해 돌고기·줄몰개·모래무지·가물치·향어 등이 확인됐습니다.
중하류에서는 향어·참마자·얼룩동사리·갈문망둑 등이 발견되며, 청계천 전 구간에 걸쳐 다양한 어종이 고르게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영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은 "청계천을 도심 속에서 생태와 환경이 공존하는 건강한 하천으로 운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TJB 대전방송
< copyright © tjb,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