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역 현안이 잇따라 여소 야대 국회의 벽에 부딪치며 협치 부활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집니다.
제2공공기관 이전이 또 미뤄지면서, 지역 정치권이 강력한 대응에 나서야한다는 여론도 높습니다.
지난 한 주 지역정가 이모저모를 김상진 기자가 소개합니다.
<기자>
부산이 그동안 추진했던 미래 먹거리 대형 사업 가운데 가시적 성과를 내고있는 건 사실상 가덕신공항, 단 하나 뿐입니다.
가덕신공항 유치가 성공할 수 있었던건 지역민의 간절함도 물론이지만 여야의 협치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공고한 협조로 다른 지역의 반대를 뚫어냈고 정부와 당시 야당 지도부도 지원해줬기 때문에 가덕신공항은 지역여야 모두의 성과물로 남았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은 다릅니다.
산업은행 부산 이전,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해사법원 유치 등 많은 사업들이 국회의 벽에 가로막혀 있습니다.
지금이나 그때나, 지역 여야의 협조체제나 정부 지원은 큰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는 야당 지도부 인식이 그때와 다르다는 겁니다.
수도권 의원들이 많아서인지, 수도권 야당 의원들이 지역 현안의 발목을 잡는 일이 반복됩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지난주 인구감소를 우려하는 이철우 경북지사의 말에 부산의 인구감소는 훨씬 심각하다고 말을 꺼냈습니다.
그런 상황인식이라면, 실천에 나서야 합니다.
지역 여론과 중앙당의 입장차 속에서 고사위기에 처한 지역 민주당을 위해서도 입장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제2차 공공기관 이전 추진 일정이 또 내년으로 미뤄졌습니다.
당초 올 연말 발표 예정이던 1차 공공기관 이전 평가 용역 결과가 내년 11월에나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지난 4월, 총선을 앞두고 지역간 과도한 경쟁을 막겠다는 이유로 한번 연기된데다, 별다른 사유도 없이 또 1년 가까이 미룬 겁니다.
인재와 기업의 수도권 유출로 공동체 해체위기에 처한 지역입장에서는 정부 차원의 인위적 지원책이라도 반드시 필요한 실정입니다.
장기간 교착에 빠진 산업은행 이전도 2차 공공기관 이전과 묶어서라도 추진동력을 확보해야하는데 또 하염없이 시간을 보낼 판입니다.
대책이 늦어질수록 수도권 일극체제는 더 공고화될 전망이라, 지역 정치권의 즉각적이고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국민의힘 부산시당의 청년위원장 공개모집에 지난달 말까지 10명 안팎의 후보가 접수했습니다.
20대부터 40대까지, 기업인부터 학생까지 다양한 직군을 갖춰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전현직 국회의원과 구청장, 시의원 등 여러 중책을 맡은 인물들을 배출해온 자리인만큼 새 위원장 선출 결과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보다 먼저 청년위원장을 공모한 민주당 부산시당은 속내가 복잡합니다.
지난 9월 두 명의 후보가 출마해 경선결과가 나왔지만, 아직까지 공식발표를 하지않고 있습니다.
일부 당원이 선거운동 과정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기 때문인데 젊은층을 중심으로 지역의 권리당원이 크게 늘어난 상황에서 부산시당이 어떤 결론을 내릴지 주목됩니다.
KNN 김상진입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