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365]-오십견 아닌 '사십견', 저절로 나을까?
{앵커:
요즘은 어깨 통증에 시달리는 젊은 층이 많아서 오십견 대신 '사십견'이라고도 합니다.
문제는 이 병이 저절로 낫는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정말 그럴까요?
건강365에서 확인해 보시죠. }
{리포트}
내 어깨 통증, 간단하게 알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른 팔로 아픈 팔을 들어 올려 보는 건데요.
이때 팔이 올라가지 않으면 오십견일 가능성이 큽니다.
================================
{최장규 구포성심병원 관절센터장 / 서울아산병원 정형외과 수료, 울산대학교병원 스포츠의학센터 간사}
{흔히들 [오십견]이라고 말씀하시는 병의 정확한 병명은 [유착성 관절낭염]으로써
[회전근개 인대] 손상, [만성질환, 외상]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관절 주머니]에 [염증].
즉 [유착]과 [관절낭염]이 발생하여 딱딱하게 [굳고 엉겨붙는다] 즉 [유착]이 생긴다
이렇게 생기는 병입니다.
이전에는 [50대]에 [노화]로 발생한 병이라 생각하여 붙은 별명인데, 50대에 가장 많이 발생할 뿐
[30~40대]는 물론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오십견은 대부분 단계별로 서서히 진행됩니다.
어깨가 굳었다 풀리는 시기에는 통증이 줄어드는데요.
때문에 그냥 놔둬도 저절로 낫는다는 오해가 많습니다.
================================
{[통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좋아지는 경우가 있으나 [치료하지 않았을] 경우,
[운동 범위의 제한]이 남는 경우가 많아서 [적절한 시기]에 [적합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특히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의 경우 [회전근개 파열]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추후
[관절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요합니다. }
================================
염증이 심하지 않은 초기에는 약이나 주사 치료가 효과적입니다.
굳은 어깨 관절의 운동성을 회복시키는 재활치료도 필요합니다.
==================================
{최장규 / 정형외과 전문의 }
{수퍼: 다른 원인에 의한 [유착성 관절낭염] 치료와 같이 기본적인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로 치료를 시작합니다.
치료에 따른 [반응을] 하지 않고 [운동 장애]를 남기거나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서
[완전한 회복]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치료]받아야 하며 특히나 [호전]이 없는 경우
수핵 팽창술, 관절경 치료 등의 더욱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
당뇨 환자는 오십견을 더 경계해야 합니다.
당뇨가 오십견 위험을 다섯 배 정도 늘리고, 치료를 해도 회복이 더딘 경우가 있습니다.
건강365였습니다.
< copyright ©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 / 300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