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nn

'부산형 인강' 확대...기대 속 우려도

기사입력
2024-06-08 오후 8:34
최종수정
2024-06-10 오후 4:13
조회수
76
  • 폰트 확대
  • 폰트 축소
  • 기사 내용 프린트
  • 기사 공유하기
<앵커> 자녀들의 사교육비 부담은 지역 간 격차를 키우는 건 물론 저출생과 지역소멸의 원인으로도 꼽히는데요. 전국에서 처음으로 공교육 차원의 인터넷 강의를 도입한 부산교육청의 실험을 두고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서부산권 한 중학교 1학년 방과후학교 시간, 학생들이 각자의 스마트기기로 인터넷 강의를 듣습니다. {김은서/부산 장림여중 1학년/"다른 이야기를 가져와서 설명해 주셔서 이해가 더 잘 되고, Q&A로 선생님한테 질문도 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인터넷 강의 녹화가 한창인 스튜디오,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 선발된 강사들은 모두 지역 현직 교사입니다. 지역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을 돕는데 초점을 맞춘 맞춤형 강의를 준비했습니다. {우선영/부산 신도중학교 교사/"아이들이 어려워하는 것들이나 많이 헷갈려 하는 것들을 저희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고 생각을 하거든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을 강의에 최대한 반영해서"} 교재를 공동 개발 한 다른 교사들도 녹화를 함께 지켜보며 완성도를 높입니다. {박소나/부산교육청학력개발원 교육연구사/"콘텐츠 촬영할 때 검수를 해 주시고 교재도 같이 집필하고 제작하고 만들도록 팀 단위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부산지역 학생 10명 가운데 8명꼴로 사교육을 받습니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3만4천원에 달합니다. 5년전 보다 참여율은 10%, 사교육비 부담은 16만원 가까이 늘었습니다. 특히 지역별로 사교육 이용격차가 두드러졌습니다. 이용률 차이가 최대 28%나 벌어졌습니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부산교육청이 부산형 인강을 도입한 배경입니다. 1차 이용대상은 원도심*서부산권 학생들입니다. 지난해 9월 고1 과정부터 개설됐는데 대상 학생 70%가 이용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올해부턴 중1과정이, 오는 2026년까진 중학교 전과정으로 확대합니다. {이상율/부산교육청학력개발원장/"동서 간의 교육 격차 완화는 물론이고 학생들에게 어떤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길러줘서 학력 향상을 꾀하고 또 나아가서는 사교육 수요를 흡수함으로써 사교육비 경감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교사노조 등은 기존 EBS강의와 크게 다를게 없다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또 교사가 인강 시청을 지도하는 방식도 교권 추락을 불러올 것이라 반발하고 있습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 0

  • 0

댓글 (0)
댓글 서비스는 로그인 이후 사용가능합니다.
  • 0 / 300

  • 취소 댓글등록
    • 최신순
    • 공감순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신고팝업 닫기

    신고사유

    • 취소

    행사/축제

    이벤트 페이지 이동

    서울특별시

    날씨
    2021.01.11 (월) -14.5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 날씨 -16

    언론사 바로가기

    언론사별 인기뉴스